김범수 창업자, 문제적 인사 재선임.. '인적 쇄신' 한계
'스톡옵션' 챙겨 나가는 전 임원들.. '도덕적 해이' 심각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 사옥. 연합뉴스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 사옥. 연합뉴스

'쇄신'을 외치고 나선 카카오가 여전히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횡령 의혹 등 사법 리스크를 해결하고자 창업자 김범수 의장이 직접 나서 인물 재배치에 들어갔지만 논란이 컸던 인사들을 재선임하려는 등 의문스러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탓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카카오 상임윤리위원회는 김범수 창업자가 직접 영입한 김정호 전 CA협의체 경영지원총괄을 해고했다. 김 전 총괄은 브라이언임팩트 이사장직에서도 물러났다.

김 창업자가 인적쇄신의 구원투수로 지난해 9월 김 전 총괄을 영입했으나 그가 취임 2개월 만에 사내 회의 중 욕설을 하고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카카오 내부 비리 의혹 등을 폭로하면서 문제가 됐다.

이에 카카오 상임윤리위원회는 조사에 나섰고 김 전 총괄이 허위 사실에 기반한 명예훼손, 사실로 확인되지 않은 사내정보 무단 유출, 언론 대응 가이드 위반 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해고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는 지난해부터 불거진 사법 리스크와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 등을 해결하고자 지난해 11월~12월 비상경영체제를 운영하고 올해 들어서는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먼저 김 창업자는 지난해 11월부터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으며 회사에 복귀한 상태다. 직접 정신아 대표 내정자를 카카오의 새 선장으로 투입했으며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김성수·이진수 공동대표 대신 권기수 최고운영책임자(COO)와 장윤중 글로벌전략책임자(GSO)를 내세웠다. 카카오게임즈도 조계현 대표 후임으로 한상우 최고전략책임자(CSO)를 선임했다.

특히 쇄신을 위해 새롭게 선임되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으로, 정 내정자는 오는 28일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정식 선임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같은 개편이 '용두사미'로 끝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카카오가 지난 2021년 카카오뱅크 상장 직후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거액의 차익을 실현한 정규돈 전 카카오뱅크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본사 CTO로 내정했기 때문이다.

또 같은 해 카카오페이 상장 직후 차익 실현에 나섰던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의 재선임안도 주주총회 안건으로 채택했으며 금융감독원이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해 대표 해임을 권고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에 대한 연임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다.

카카오는 "현재 조직 구조 개편이 전문성 갖춘 젊은 리더들에게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는 방향성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만을 전달할 뿐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직원들의 보수는 급감한 반면 방만경영을 이끌었던 카카오 경영진들은 수십억원씩 보수를 받으면서 또 한 차례 따가운 지적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카카오 직원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1억1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1억3900만원) 대비 27%나 줄어들어든 규모다.

반면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급여 12억원에 기타 근로소득 9600만원 등 총 12억96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지난 2022년 데이터센터 화재 사태로 책임지고 물러나 지난해 10월까지 상근 고문으로 근무한 남궁훈 전 대표는 급여 4억1700만원과 기타 근로소득 5000만원을 받았다. 여기에 스톡옵션 행사로 94억3200만원을 더 챙겼다.

2년 전 '먹튀' 논란으로 카카오페이 임원직을 내려놨던 전 임원진 4명 역시 스톡옵션 행사로 억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퇴사한 나호열 전 카카오페이 최고기술책임자(72억1500만원), 이지홍 전 브랜드실장(41억200만원), 이진 전 사업지원실장(24억3800만원), 전형성 전 경영기획실장(1억800만원) 등이다.

카카오는 이들 전 임원들이 대해 "퇴사 절차를 밟으면서 보유한 스톡옵션을 정당하게 행사한 결과"라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도 회사의 성장을 쉽게 예견할 수 없는 IT업계에서 스톡옵션은 인재를 영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로 보고 있기도 하다.

다만 인적쇄신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문제를 일으켰던 전 임원진들이 큰 이익을 얻고 나가는 모습은 카카오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게하는 부분이 될 수밖에 없어 '도덕적 해이' 논란이 다시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카카오 #경영진 #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