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둔화 지표로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에 힘 실려
SC그룹, 美 기준금리 상단 시장전망치보다 낮은 4.75% 전망

지난달 2일 FOMC 결과에 대해 파월 연준 의장에게 질의하는 기자들(출처=Fed 홈페이지)
지난달 2일 FOMC 결과에 대해 파월 연준 의장에게 질의하는 기자들(출처=Fed 홈페이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둔 가운데 인플레이션 둔화 지표가 나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미 노동부는 13일(현지시간)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올랐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CPI 수치는 지난해 12월 이후 최소 상승폭이자, 현지에서 예측한 상승률 전망치(7.3%)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지난 6월 9%대까지 치솟았던 미국 CPI상승률은 7월(8.5%), 8월(8.3%), 9월(8.2%) 상승률을 보이며 8%대의 높은 흐름을 유지해왔다. 이후 지난 10월 7%대에 진입한 CPI 상승률은 11월에도 다소 둔화하며 7%대 초반까지 내려왔다.

거의 모든 지표에서 시장의 전망치를 하회한 점도 눈길을 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6.0% 수준을 보이며 시장 예상치인 6.1%를 하회했다. 또 전월 대비 CPI 상승률 또한 0.1%를 기록, 시장 전망치(0.3%)를 하회한데 이어 지난해 8월 이후 최소수준까지 기록했다.

CPI상승률 둔화는 에너지 가격의 하락세가 적잖은 영향을 미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에너지 물가지수는 휘발유(-0.2%) 가격 하락의 여파로 전월 대비 1.6% 하락했다. 반면, 주거비용은 전월 대비 0.6%, 식료품 가격은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이처럼 미국 CPI 상승률의 전반적 지표가 안정적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1.58%), S&P500(1.43%), 나스닥(1.26%) 모두 각각 상승하며 마감했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0월에 이어 또 다시 7%대 초반까지 내려가면서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에도 힘이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미국 연준은 물가 억제를 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겠다는 뜻을 내비쳐왔는데, 물가상승 압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지표가 공개되면서 당장 이번 12월 연준에서 금리인상폭을 줄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연준은 14일 오후 2시(한국시간 15일 오전 4시)에 FOMC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11월 물가 상승폭이 시장 기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높은 상황이다. 

연준은 지난 6월과 7월, 9월에 이어 11월까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4회 연속 단행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4차례의 자이언트 스텝을 거쳐 3.75~4.00%로 올라간 상황이다.

기준금리의 급격한 상승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FOMC 내부에서도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이번 회의에서는 0.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 조절을 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이달 FOMC 정례회의에서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은 13일 기준 79.4%,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20.6%로 전망했다. 11월 CPI상승률 발표 이전인 전일(12일) 예측치가 73.5%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불과 하루 새 5.9%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SC그룹 거시경제 리서치팀이 발간한 '2023년 경제 전망–상반된 전·후반(Global Focus: Economic Outlook 2023–A year of two halves'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중 대부분의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상을 끝낼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미국의 GDP는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0.2%)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시장 전망치(0.4%)를 밑도는 것이다. 

평균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디플레이터는 3.2%로 시장 전망치인 3.5%보다 낮게 봤다. 저소득 가구의 저축이 고갈됨에 따라 소비자 지출이 내년 상반기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욱이 2022년 금리 인상 효과가 2023년 수요를 제약하면서 실업률을 더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SC그룹은 금리 인상으로 노동시장이 위축되고 임금 상승률이 꺾이면서 연방기금 목표금리가 시장 전망보다 빨리 정점을 찍고 내려올 것으로 봤는데, 미국의 기준금리 최종 상단은 2023년 2분기까지 시장 전망치(5.0~5.25%)보다 낮은 4.75%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12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에 있는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연설에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과 관련해 “12월 FOMC 정례회의에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11월 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도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내비췄었다. 

파월 의장은 브루킹스연구소 연설에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상황이 일부 나아지고는 있지만 물가 안정을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물가를 낮추기 위해 한동안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되, 인상 방침은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11월 소비자물가 결과는 12월 FOMC에서 빅스텝 명분을 강화시켜줄 것”이라면서도 “12월 기준금리를 0.5%p 인상으로 속도를 조절하겠지만 최종금리 수준은 여전히 5% 이상이 될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성대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