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SK브로드·LG U+, CJ ENM에 불만 표출
3사 “전년 대비 25% 이상 증가, 비상식적”
CJ ENM “IPTV 3사, 콘텐츠 가치 저평가”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를 운영하는 업체와 콘텐츠 제공사인 CJ ENM이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을 두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를 운영하는 업체와 콘텐츠 제공사인 CJ ENM이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을 두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를 운영하는 업체와 콘텐츠 제공사인 CJ ENM이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을 두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IPTV 업계가 CJ ENM을 겨냥해 시청권을 볼모로 25%에 달하는 비상식적인 인상 요구를 한다고 공개 비판하자, CJ ENM은 IPTV 업계가 콘텐츠를 저평가하며 방송 몫만 과도하게 챙기고 있다고 반박에 나섰다.

IPTV 3사로 구성된 한국IPTV방송협회는 20일 "최근 대형 콘텐츠 사업자가 전년 대비 25% 이상이라는 비상식적 수준으로 공급 대가 인상을 요구했다. 동의하지 않으면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으름장까지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협회는 성명서에서 이같이 밝힌 뒤 "대형 콘텐츠 사업자가 시청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선택권을 침해하는 비상식적 수준의 대가 인상 시도를 중단하고 합리적이고 타당한 수준의 협의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해당 대형 콘텐츠 사업자는 특정되지 않았으나 업계는 지난해부터 방송 플랫폼과 갈등을 겪고 있는 CJ ENM을 겨냥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아울러 협회는 OTT에 대한 콘텐츠 제공과 관련해 "해당 업체가 자사 OTT에는 콘텐츠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한다"며 "유료방송은 실시간 채널로만 방영하고 VOD는 자사 OTT에서만 볼 수 있도록 서비스 권리를 제한한다"고 차별 논란을 제기했다.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IPTV 서비스인 ‘모바일TV’에 대해서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수준으로 인상을 요구하며 요구 조건의 수용이 불가할 경우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또 협회는 유료방송 사업자의 신규 서비스인 태블릿 IPTV에 대해 해당 업체가 콘텐츠 공급 불가를 통보했다면서 "콘텐츠를 볼모로 플랫폼 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다. 발목잡기식 행태를 즉시 멈추라"고 밝혔다.

이는 CJ ENM이 그동안 IPTV 플랫폼과 모바일 플랫폼 프로그램 사용료는 함께 묶어서 계약해왔지만 올해 별도 책정을 요구해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

이에 CJ ENM은 곧바로 입장문을 내고 IPTV 3사의 주장을 반박했다.

CJ ENM은 "시청 점유율 상승에 따른 채널 영향력과 제작비 상승 및 콘텐츠 투자 규모에 걸맞은 요구안으로 협상 중"이라며 "IPTV 3사가 콘텐츠의 가치를 지나치게 저평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CJ ENM은 방송통신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2019년 IPTV 업계가 고객에게 받은 기본채널 수신료 매출과 홈쇼핑 송출수수료 매출 중 16.7%만을 실시간채널 공급 대가로 전체 방송채널 사업자(PP)에게 분배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음원, 웹툰, 극장 등 업계가 고객의 콘텐츠 이용료 중 50~70%가량을 콘텐츠 업체에 배분하는 것과 비교해 유료방송 플랫폼이 챙겨가는 몫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OTT에 대한 콘텐츠 차별 제공 논란에 대해선 "IPTV가 운영중인 OTT는 단순한 모바일 IPTV가 아니라 명확히 OTT 서비스"라며 "IPTV 외 해당 OTT를 이용하려면 월 사용요금을 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IPTV 업체뿐만 아니라 타 OTT에도 동일한 잣대로 협상 중으로 차별적 협상 조건은 없다"고 설명했다.

태블릿 IPTV에 대한 콘텐츠 공급 문제를 두고는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신기술 적용 서비스가 출시되면 이에 따른 사용료 협상을 하면 되는 사안일 뿐"이라며 "당사가 서비스 도입을 마치 방해하고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언급한 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고가의 프로그램 사용료를 책정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시청 점유율 상승에 따른 당사 채널의 영향력과 제작비 상승, 콘텐츠 투자 규모에 걸맞는 요구안을 가지고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저가의 프로그램 사용료는 방송사의 콘텐츠 투자 위축을 불러오고, 이로 인해 콘텐츠의 질이 떨어지게 되면 플랫폼사 유료가입자 이탈로 인해 결국 유료방송산업의 경쟁력 또한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매해 반복되는 프로그램 사용료 갈등은 유료방송업계 관행인 콘텐츠의 '선공급 후계약' 문제 탓이 크다. IPTV 등 유료방송사업자에게 방송콘텐츠를 공급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와 콘텐츠사업자 간 입장 차가 커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게다가 플랫폼과 콘텐츠사업자 간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거나 계약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도 방송프로그램 공급을 요구하는 행위가 자주 이뤄지고 있다.

이에 CJ ENM 등은 선공급 후계약 관행을 타파하고 선제적이고 공격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선계약 후공급 제도가 자리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협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