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계류장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기들이 서있는 모습.
인천국제공항 계류장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기들이 서있는 모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현장실사에 나서는 등 양사 통합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위원회는 11일 실사 일정을 조율한 뒤 본격적인 현장실사에 돌입한 상태다. 기획·재무·여객·화물 등 분야별 워킹그룹이 각각 일정에 맞춰 아시아나항공 본사를 방문해 실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인수 후 통합전략(PMI) 수립이 끝나는 오는 3월 17일까지 현장 실사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대한항공은 이달 6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한 정관을 변경하며 예정대로 인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3월 2조5000억원 가량의 유상증자를 위해 정관에 명시된 주식 총수 한도를 늘렸다. 이달 중순까지는 한국, 미국, EU, 중국, 일본 등에 기업결합 신고서를 제출한다.

지난달엔 산업은행이 한진칼에 대여한 8000억원을 대여받아 아시아나항공에 인수 계약금 3000억원을 지급했다. 6월 아시아나항공 1조500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60% 이상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처럼 두 항공사의 통합 작업이 본격화됐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지난해 KCGI가 인수를 반대하며 제기한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고 최근 임시 주주총회에서 유상증자를 위한 정관까지 개정되면서 인수 절차에 속도가 붙었으나 통합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시각이 대체적이다.

대한항공은 3월 12일 2조5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인수 자금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난해 12월 3000억원의 인수 계약금을 아시아나항공에 지급한 대한항공은 오는 3월 15일 4000억원의 중도금을 예치하고, 6월 30일 아시아나항공의 1조500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해 아시아나항공 지분 약 63.9%를 취득할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결합 심사와 인수 자금 조달도 변수로 남아있다. 양대 항공사의 통합으로 인한 독과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기업결합심사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대한항공은 이달 14일까지 한국, 미국, EU, 중국, 일본 등에 기업결합 신고를 할 계획이다. 향후 기업결합심사가 필요한 국가가 추가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연합뉴스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업결합 심사 시 경쟁 제한성 판단, 경쟁 제한성 완화요인의 고려, 효율성 증대 효과와 회생이 불가한 회사 여부 판단(경쟁 제한성 적용 예외 요건) 등을 한다. 회생이 불가능한 회사에 대한 기업결합은 심사 예외 대상인 만큼 항공산업 구조 개편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번 인수는 기업결합 심사 예외 규정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아시아나항공 인수 자금인 1조5000억원을 확보하기 위한 대한항공의 유상증자도 규모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이번 유상증자의 최종 모집 금액은 대한항공 주가 변동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국면에서 어려운 항공 업황을 감아한다면 대한항공이 유상증자에서 2조5000억원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일각에선 목표치를 달성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코로나19 백신 수송으로 인한 화물 사업 호조와 통합 시너지 기대 등으로 유상증자에 영향을 줄 정도의 주가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한항공은 유상증자 규모가 2조5000억원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확보한 자금을 아시아나항공 신주 취득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인수 절차가 계획대로 마무리되더라도 재무안정성 확보와 아시아나항공 자회사 지분 구조 정리 등도 과제로 제기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 합산 순차입금은 22조5675억원으로 대한항공 단독일 때와 비교해 8조1401억원이 늘어난다. 부채비율도 927%로 대한항공 단독 기준 대비 234.1%포인트(p) 증가하며 인수 후 재무 안전성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단는 분석이 나온다.

인수 이후 부채비율 악화 등의 재무적 요인을 근거로 신용등급이 하락될 수도 있으며, 노선 및 기재 통합·효율화, 공통비용 절감, 운용 효율성 제고 등의 통합 시너지가 코로나19 여파로 예상보다 늦게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