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용량 2017년 5.7GW→2030년 36.5GW로
전체 신재생에너지 63.8GW의 57% 태양광 발전이 담당
수익성 요건인 '그리드 패러티' 돌파이후 수요 크게 늘어

'한국판 뉴딜'이 나온지 두 달이 지나고 있는 가운데, 한국판 뉴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린 뉴딜과 관련된 후속 정책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그린 뉴딜 프로젝트를 이끌면서 저탄소 경제를 선도하는 등 에너지 정책 대전환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에너지 대전환을 이끌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오늘과 내일, 그리고 미래발전 전략을 살펴본다.[편집자 주]

청정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의 중심에는 누가 뭐래도 태양광 발전이 자리하고 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담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57%가 태양광이 담당하기 때문이다.

지난 2017년 12월 발표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은 정부가 지난 2008년부터 추진해 온 '재생에너지 중심의 청정에너지 체제'로 전환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의 종합 판이다.

이행계획의 목표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16년 7% 수준에서 오는 2022년 10.5%, 2030년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를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도 2017년 15.1GW에서 2030년 63.8GW에서 48.7GW로 늘어난다. 이 가운데 태양광 발전이 36.5GW로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의 57%로 절반이 넘고 풍력발전이 17.7GW로 28%를 차지한다.

늘어나는 48.7GW는 원전 35기의 발전용량과 맞먹는 규모로 △자가용 설비 확대(2.4GW) △협동조합을 비롯한 소규모 태양광 사업(7.5GW) △농촌 지역 태양광 활성화(10GW) △발전회사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28.8GW) 등으로 채원진다. 그리고 48.7GW의 95% 이상이 태양광(30.8GW)과 풍력(16.5GW) 설비로 채워지고, 핵심은 여부 태양광 발전이다.

이 같은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한국판 뉴딜을 통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태양광·풍력 설비를 2022년까지 26.3GW, 2025년까지 42.7GW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2019년 기준 누적 설치량이 12.7GW인 것과 비교하면 앞으로 3년 동안 지금까지의 설치량을 웃도는 수준으로 확충하겠다는 셈이다.

그리고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발전용량을 54.2GW로 확대하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종료시점 보다 5년 앞두고 약 78.8%를 달성하는 것이다.

정부가 이 같은 목표를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재생에너지 3020이 시작된 2년 동안 꾸준히 목표를 초과달성했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담긴 전략적 시범사업·실증단지 추진을 통한 태양광 발전 초기시장 창출 전략. [자료: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담긴 전략적 시범사업·실증단지 추진을 통한 태양광 발전 초기시장 창출 전략. [자료: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 태양광 발전설비 올해 신규 목표치 2.3GW 이미 넘어서

2018년 태양광·풍력 발전용량 목표는 당초 1.6GW였으나 0.9GW 많은 2.5GW를 달성했다. 지난해에도 목표보다 1GW 많은 3.3GW를 기록했고, 올해도 이미 목표치(2.3GW)를 넘어선 상황이다.

태양광 시장 성장 배경에는 관련기술의 급성장이 든든한 힘이 되고 있다. 과거 태양광 시장은 투자 효율에 대한 의문이 적지 않았다. 다시 말해 투자 대비 수익성이 있느냐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등 대부분 지역에서 그리드 패러티(Grid Parity)가 달성되면서 태양광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드 패러티란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드는 발전원가가 원유 등 화석연료 발전원가와 같아지는 시점을 말한다.

◇ 단결정 실리콘 모듈 가격 1년 전보다 20% 정도 하락

한국수출입은행의 ‘2020년 1분기 태양광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4월 기준 태양광 모듈가격은 단결정 실리콘 0.208($/W), 다결정 실리콘 모듈0.187($/W)로 전월대비 각각 6.4%와 5.0% 하락했다. 1년 전에 비해서는 19.7%, 17% 떨어진 것이다.

태양광 모듈 가격동향 추이. [자료:한국수출입은행 2020년 1분기 태양광 산업동향]
태양광 모듈 가격동향 추이. [자료:한국수출입은행 2020년 1분기 태양광 산업동향]

보고서는 "모듈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며, 단결정 모듈의 경우 0.2(0.2/W)가 깨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다만, 코로나19 상황 진정 시 글로벌 경기부양에 따른 발전 인프라에 대한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가격이 오를 수도 있으나 공급이 충분한 만큼 가격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태양광 모듈은 비용은 전체 시공비의 4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발전사업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원가 요인이다.

단결정 모듈의 특징은 실리콘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이고 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대기권이 불안전한 아침이나 해가 지는 저녁, 흐린 날에도 비교적 발전량이 다결정보다 높다. 단점이 단결정이 다결정보다 비싸다는 것이다.

하지만 태양광 시장이 그리드 패러티 도달을 계기로 고효율·고출력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단결정 모듈이 시장 지배력을 높여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에는 '양면모듈'까지 등장하고 있다. 양면모듈은 말 그대로 앞과 뒤에 동시에 모듈을 설치하는 것으로 최대 30%까지 추가 발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2019년 이후 태양광 발전이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시장 규모도 훨씬 더 커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은 물론, 관련업계의 예측이다.

◇ 코로나19 돌발변수로 올해 설치량 당초 예상치 밑돌 듯

다만, 예상치 않았던 코로나19 사태로 태양광 시장도 잠시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수출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15GW를 기록한 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올해 최대 150GW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코로나19라는 돌발변수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다.

수출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프로젝트 지연이나 연기가 최소 3분기까지 지속되면서 올해(2020년) 전세계 태양광 설치량도 120~150GW에서 90~120GW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태양광 시장 역시 코로나19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올해 1분기 태양광 발전 설치량은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연간 설치량이 4GW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으나, 코로나19 변수로 당초 전망치 4GW에는 다소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